라드온 이야기

반응형

칼럼 필사

 

네이버 뉴스의 오피니언 섹션,

칼럼 중 적당한 길이의 칼럼을 골라

필사를 해보기로 한다.

 

필사는 신문기사의 맞춤법,

띄어쓰기, 마침표 등을 똑같이 작성한다.

이후 기사 요약, 느낌을 적어보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기억할 오늘] 기후 위기로 줄어든 대양 연결수로


지난해 8월 파나마운하관리청이 하루 운하 통행량을 올 2월까지 절반가량 줄이겠다고 밝혔다. 세계 물동량의 약 3%, 동아시아와 미국 동부 해상 물류 최대 25%가 이동해 온 대서양-태평양 연결 수로가 좁아진 거였다. 파나마 정부가 운하 통행료로 버는 돈은 연간 국내총생산(GDP)의 약 6%(2021년 기준 40억 달러). 무역 거점이라는 전략적 지위에 따른 금융 물류 등 서비스 산업(GDP의 약 82%)도 위축될 수 있는 결정이었다. 국가 경제에도 치명적인 저 결정의 배경은 기록적인 가뭄, 즉 기후 위기였다.

 

파나마운하는 수위가 서로 다른 8개 구간의 거대한 물길이 9개 갑문으로 나뉘어 대륙을 관통하는 구조다. 구간별로 물을 채우고 빼면서 선박을 띄우거나 앉혀 다음 구간으로 나아가게 하는 일종의 해상 수평 엘리베이터. 그 운하에 물을 공급하는 두 개의 거대한 호수(알라후엘라호, 가툰호) 수위가 140년 기상 관측 이래 지난해 최저 수위를 기록했다. 두 호수는 파나마 인구 절반의 식수원이기도 하다.

 

파나마운하는 19세기 프랑스가 착공했다가 좌절한 뒤 20세기 초 미국이 건설했다. 1914년 완공되기까지 2만 7500여 명의 노동자가 말라리아 등 전염병과 사고로 숨졌다. 운하 이권을 차지하기 위해 미국은 콜롬비아령 파나마의 독립(1903년)을 도왔고, 운하 건설 후 운영권을 무기한 보장받는 조약을 맺었다. 조약에는 운하 양쪽 각 8km 구간의 이른바 '운하 지대'를 미국 정부가 파견한 총독이 통치한다는 조항도 포함됐다. 운하 종사자 가족 등 미국인 4만 5000명이 그곳에 거주했고 독자적인 행정조직뿐 아니라 여단 규모의 미군까지 주둔했다.

 

운하 통제권-주권을 되찾기 위한 파나마인들의 저항은 20세기 내내 이어졌다. 그 분수령인 운하 지대 미국인 학교 파나마 국기 게양 사건과 3일간의 유혈 반미 시위가 1964년 1월 9일 시작됐다.(계속)

 

칼럼 원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779328?sid=110

 

[기억할 오늘] 기후 위기로 줄어든 대양 연결수로

지난해 8월 파나마운하관리청이 하루 운하 통행량을 올 2월까지 절반가량 줄이겠다고 밝혔다. 세계 물동량의 약 3%, 동아시아와 미국 동부 해상 물류 최대 25%가 이동해온 대서양-태평양 연결 수

n.news.naver.com


 

요약해봅시다.

 

1. 이 칼럼의 핵심 키워드를 찾는다면?

- 파나마운하, 운하통행량, 기후위기

 

2. 이 칼럼의 주제를 한 문단으로 요약한다면?

- 파마나운하는 프랑스에서 시작하여 미국이 완공했다. 미국이 운하의 운영권을 보장받기 위한 조약을 맺었고 운하 지대를 운영하며 갖은 이익을 가졌었다.(아마 이후 칼럼에서 유혈 반미 시위 이후 조약이 파기되지 않았겠나 싶다.)

 

3. 이 칼럼을 읽고 든 나의 견해는?

- 공감한 부분 :

'국가 경제에도 치명적인 저 결정의 배경은 기록적인 가뭄, 즉 기후 위기였다.'

ㄴ 두 개의 거대한 호수가 기후 위기로 수위가 140년 기상 관측 이래 지난해 최저 수위를 기록했다.

ㄴ 칼럼을 읽고, 파나마운하의 위치와 동작방식을 살펴보니 신기했다.

'운하 이권을 차지하기 위해 미국은 콜롬비아령 파나마의 독립을 도왔고...'

ㄴ 지도상으로 살펴본 파나마운하 위치는 미국에 막대한 이익을 안겨줄 수밖에 없는 위치였다.

 

- 공감하기 어려운 부분 :

내가 생각한 칼럼의 순기능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내가 전혀 몰랐던 부분에 대한 이해.

파나마운하(수에즈운하랑 위치를 혼동했었다.)위치와 동작 방식도 배우고 좋은 기회였다.

칼럼이 1부, 2부 나뉘는게 있는지도 처음 알게되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