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뉴스의 오피니언 섹션,
칼럼 중 적당한 길이의 칼럼을 골라
필사를 해보기로 한다.
필사는 신문기사의 맞춤법,
띄어쓰기, 마침표 등을 똑같이 작성한다.
이후 기사 요약, 느낌을 적어보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프랑스는 34세 총리, 한국은 의원 평균 나이가 58세[핫이슈]
프랑스는 신임 총리가 34세
마크롱은 39세에 대통령 취임
한국은 의원 평균 나이가 58세
야당 전 대표가 73년생 장관에
"어린놈" 타박 늙은 나라 됐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9일 가브리엘 아탈 교육부 장관을 새 총리로 임명했는 데 신임 총리의 나이에 깜짝 놀라게 된다. 1989년에 태어났다고 하니 만 34세다. 그가 정부 대변인이 된 게 2020년이니 31세다. 2년 뒤에는 공공회계 장관이 됐고 작년 7월에는 교육부 장관이 됐다. 30대 초반의 젊은 장관에게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라는 교육을 맡기더니, 이제는 국정 전반을 맡긴 셈이다.
그러고 보니 프랑스는 대통령도 나이가 젊다. 1977년 12월생이라고 하니 만 46세다. 그러나 젊다고 얕보면 안 된다. 마크롱은 프랑스는 물론이고 유럽연합(EU)을 이끄는 리더 역할을 하고 있다. EU는 앙겔라 메르켈 전 독일 총리가 은퇴한 이후 마크롱이 점차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올라프 숄츠 현 독일 총리는 독일 안에서도 인기가 없고 리더십이 흔들린다.
반면 한국을 보면 시대에 한참을 뒤진 느낌이다. 원내 제1당 대표를 지냈다는 이가 1973년생 법무부 장관을 향해 “어린놈”이라고 고함을 치며 역정을 내는 나라가 대한민국이다. 국회의원 평균 연령도 무려 58세다. 대한민국 중위 연령보다 13세나 많다. 45세 미만 의원은 8%에도 못 미친다.
반면 마크롱은 만 39세에 대통령이 됐다. 장유유서(長幼有序)를 따지는 한국 정치판에서 누군가 이 나이에 대통령에 출마하면 “어린 놈”이라는 타박이 곳곳에서 터져 나올 것만 같다. 그러고 보니 3차 세계대전으로 치닫던 1962년 쿠바 위기에서 세계를 구한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당시 나이가 45세였다. 그는 핵무기를 쓰자는 군 장성들의 압박을 인내심 있게 견뎌내며 소련의 양보를 얻어냈다.
지금은 과거 어느 때보다 불확실성이 높고 급변하는 세상이다. 과거의 지식은 순식간에 낡은 게 된다. 예전에는 지혜라고 했던 식견이 고집불통의 상징이 되는 것도 한순간이다.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고 적응하는 데에는 오히려 젊음이 유리하다. 다만 너무 젊으면 옛것을 과도하게 무시할 수 있다. 새로운 것과 옛것을 조화시키고 융화하는 데에는 40대의 나이면 충분하다. 30대 총리는 아니더라도 지금의 마크롱 같은 40대 지도자를 한국에서 기대하는 건 무리일까. 40대를 젊은 나이로 보는 건 대한민국이 늙었다는 증거일 뿐이다.
칼럼 원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242311?sid=110
요약해봅시다.
1. 이 칼럼의 핵심 키워드를 찾는다면?
- 프랑스, 신임총리, 마크롱대통령, 한국의원평균나이, 어린놈
2. 이 칼럼의 주제를 한 문단으로 요약한다면?
- 프랑스 신임총리 가브리에네 아탈은 1989년생으로, 국가 요직을 두루 거쳤다.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1977년생)도 마찬가지로 젊다.
- 야당 전 대표가 73년생 한동훈 전 장관에게 어린놈이라고 타박하는 늙은 나라가 됐다.
3. 이 칼럼을 읽고 든 나의 견해는?
- 공감한 부분 :
'올라프 숄츠 현 독일 총리는 독일 안에서도 인기가 없고 리더십이 흔들린다.'
ㄴ 마크롱 대통령이 EU를 이끄는 리더 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전 독일 총리 메르켈을 대신하고 있다고 한다.
ㄴ 가만 생각해 보니, 올라프 숄츠 총리에 대해서는 뉴스에서 거의 보질 못했는데, 독일 안에서도 인기가 없다 한다.
'1973년생 법무부 장관을 향해 "어린놈"이라고 고함을 치며 역정을 내는 나라가 대한민국이다.'
ㄴ 일국의 국무위원인 장관에게 어린놈이라고 고함치고 역정을 낸 것은 분명 잘못한 일이다.
ㄴ 헌데, 그 말이 왜 나왔는지를 살펴볼 필요도 있을 것이다.
ㄴ 한 장관이 인터뷰 또는 청문회 하는 내용을 보면, 그보다 어린 나도 화가 날 때가 있긴 하다.
- 공감하기 어려운 부분 :
'장유유서를 따지는 한국 정치판에서 누군가 이 나이에 대통령에 출마하면...'
ㄴ 기자가 사례로 들고 있는 프랑스나 미국의 사례는 우리나라와 정서가 많이 다르다.
ㄴ 유교문화권의 나라의 사례가 있으면 비교가 맞다. 할아버지, 아버지에게도 '톰, 이것 좀 가져다줘' 하는 나라와 비교하면서 한국 정치판이 늙었다, 대한민국이 늙었다는 적절하지 않다.
한동훈식 '물갈이'에 떠는 의원들(머니투데이, 2024.1.12) (2) | 2024.01.13 |
---|---|
올 첫 상장에 대한 단상(대전일보, 2024.1.11) (1) | 2024.01.12 |
2024년 달라지는 산림제도(대전일보, 2024.1.9) (0) | 2024.01.10 |
박수받을 수 있는 저출산 대책이 나오려면(파이낸셜뉴스, 2024.1.8) (0) | 2024.01.09 |
5G 3만원대 요금이 뒤흔드는 이통 생태계(아시아경제, 2024.1.8) (1) |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