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서는 위택스를 이용하여 지방세중 자동차세를 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었습니다. 오늘은 앞서 말씀드린대로 지방세중 부동산 등과 같은 재산에 대한 재산세를 납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사실 세금의 이름만 틀리지 재산세를 납부하는 방법은 자동차세를 납부하는 방법과 동일합니다. 그래도 찬찬히 스탭 바이 스텝으로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검색엔진에서 '위택스'로 검색합니다. 최상단에 보이는 '위택스 모바일'를 눌러 위택스 홈페이지로 접속합니다.
메인화면의 우측 최상단을 보면 붉은 화살표처럼 로그인이 나옵니다. 역시나 돈에 대한 무언갈 할때는 반드시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먼저 하시기 바랍니다. 당장은 로그인이 필요없어 보여도 결국에는 로그인을 해야지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눌러 공인인증서를 선택할 수 있는 로그인 인증서 선택 창이 나타납니다.
본인의 공인인증서를 선택, 인증서 암호를 입력한 뒤 아랫쪽 주황색의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공인인증서를 통해 로그인을 하면 기본화면으로 위와 같이 '나의 위택스' 화면이 나타납니다. 현재 납부해야할 내역이 무엇이 있는지와 올해 제가 지방세로 납부한 것은 무엇이 있는지 확인해볼 수 있는 화면입니다. 제가 7월 31일까지 납부해야할 지방세(재산세)는 총 7건이 보입니다. 붉은 색 네모 박스인 '납부를 누릅니다.
조회와 납부화면이 나오며, 과거에 납부한 내역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메뉴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른 설정 변경없이 검색을 누르시면 납부해야할 지방세 내역이 모두 확인 됩니다.
'조회납부 결과 및 선택납부' 화면이 나타나며, 제가 7월 31일까지 어떤 내용으로 재산세를 납부해야되는지에 상세한 항목과 금액이 나타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예시로 '자동납부' 기능을 설명한다고 자동납부를 하나 설정해뒀었는데 그 항목은 위에서 붉은 색으로 '계좌자동이체'로 나타나있습니다. 모두 납부해야할 것이라, 표의 좌측 상단(파란색) 체크박스를 체크합니다.
위와 같이 한번에 모든 납부해야할 세금이 선택이 되고, 붉은 색 네모 박스의 '선택납부'를 누릅니다. 결제화면이 나오면, 신용카드, 계좌이체 등의 방법으로 세금을 납부하시면 됩니다. 정말 쉽습니다. 컴퓨터 사용이 익숙치 않으신 어르신이시라면 자녀분에게 공인인증서만 설치해달라고 하시면 됩니다. 여러모로 많이 사용될 것이니 이번 기회에 공인인증서 깔아두시면 편하실 것입니다.
오늘은 재산세 납부하는 방법을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이제는 번거롭게 영수증 들고 관공서나 은행를 직접 찾아가서 납부하시지 마시고, 간편히 위택스를 이용하여 세금을 납부해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하루도 고생많으셨습니다. 편안한 밤 되시기 바랍니다.
자동차세 계산기 사용하기 (1) | 2021.01.13 |
---|---|
위택스 미납환급금 확인하기(feat. 정부24) (3) | 2020.07.24 |
위택스 재산세(지방세) 납부하기 (1) | 2020.07.23 |
국세환급금 조회, 소중한 내돈 찾기 (2) | 2020.05.27 |
스마트위택스를 이용한 자동차세 납부하는 방법 (12) | 2020.01.10 |
위택스 자동차세연납신청하기 (13) | 2020.01.08 |
본문과 관련 있는 내용으로 댓글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