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라드온입니다.
온가족이 감기에 걸려서 골골되고 있습니다.
지난주에 4호가 찜질방에서 과하게 찜질, 아이스방을
오가더니 기침을 달고와서는 5호에게, 1호인 제게,
2호인 엄마에게 나눠줬나봅니다.
기관지쪽이 엄청나게 아프고 기침, 가래가 심하네요.ㅠ
감기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상승지역은 형광펜으로 그어두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매매가격 하락폭 축소, 전세가격 하락폭 유지
1.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6%]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하락폭이 축소됐다. 수도권(-0.04%→-0.02%)은 하락폭 축소, 서울(0.00%→0.02%)은 상승 전환, 지방(-0.11%→-0.09%)은 하락폭 축소(5대광역시(-0.08%→-0.06%), 8개도(-0.13%→-0.12%), 세종(-0.31%→-0.09%))됐다.
ㅇ 시도별로는 대전(0.07%), 서울(0.02%), 인천(0.02%)은 상승, 경남 (-0.16%), 강원(-0.15%), 울산(-0.15%), 충남(-0.13%), 충북(-0.13%), 경북(-0.11%), 전북(-0.09%) 등은 하락했다.
-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28→38개) 및 보합 지역(22→25개)은 증가, 하락 지역(126→113개)은 감소했다.
[수도권 : -0.02%] 서울 0.02% 상승, 인천 0.02% 상승, 경기 0.05% 하락
ㅇ [서울 : 0.00% → +0.02%] 대출규제, 세제강화 등 정책 기조 유지와 더불어 추가 규제 가능성(분양가 상한제 등)에 따른 시장 불확실성으로 대다수 관망세를 보이고 있으나, 일부 인기 재건축 및 신축 단지 매수세로 ‘18년 11월1주 이후 34주 만에 상승 전환
- (강북 14개구 : +0.01%) 여전히 급매물 위주로 거래되거나 관망세 이어가는 지역은 보합(종로․강북․성북․동대문․도봉구) 내지 하락(중랑․ 성동구)했고, 용산(+0.05%)․서대문구(+0.04%)도 대다수 보합세이나 정비사업 또는 인기 대단지 수요 등 국지적인 영향으로 일부 단지 위주로 상승
- (강남 11개구 : +0.02%) ① 강남4구 : 강동구(-0.04%)는 입주물량 영향으로 하락세 지속. 송파(+0.04%)․서초(+0.03%)구는 대체로 보합세인 가운데, 구 외각이나 매물 많은 단지는 하락하고 일부 인기 재건축 및 신축 단지는 상승하는 혼재된 양상 보이며 소폭 상승. ② 강남4구 이외 : 양천(+0.06%)․영등포구(+0.06%)는 재건축 기대감 있는 단지 위주로 상승
ㅇ [인천 : 0.00% → +0.02%] 상승 전환
- 미추홀구(-0.06%)는 인근 송도신도시 신규 입주물량(‘19.6~7월 약 2,900세대) 증가 영향으로 하락 전환됐으나, 서구(+0.06%)는 저가매물 소진되며, 중구(+0.03%)는 중산동 일부 신축 대단지에서 상승 전환
ㅇ [경기 : -0.07% → -0.05%] 하락폭 축소 매수심리 위축, 신규 입주물량 누적 등으로 하락세 지속되는 가운데, 개발호재(교통망 등) 있거나 저가매수세 유입된 일부 지역은 상승하며 전체적으로 지난주 대비 하락폭 축소
- 평택시(-0.36%)․용인 수지구(-0.23%) 등은 신규 입주물량 누적 영향 등으로 하락세 지속됐으나, 성남 분당구(+0.02%)는 정주여건 양호한 지역 위주로 상승 전환되고, 광명시(+0.40%)는 교통여건 개선 기대감(신안산선 등) 등으로, 과천시(+0.25%)는 원문동 대단지 및 재건축 일부 단지에서 상승
2.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 -0.07%]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 하락폭을 유지했다. 수도권(-0.05%→-0.03%)은 하락폭 축소, 서울(0.00%→0.01%)은 상승 전환, 지방(-0.10%→-0.11%)은 하락폭 확대(5대광역시(-0.08%→-0.09%), 8개도 (-0.11%→-0.13%), 세종(-0.12%→-0.20%))됐다.
ㅇ 시도별로는 서울(0.01%), 대구(0.01%), 대전(0.01%)은 상승, 충남 (0.00%)은 보합, 울산(-0.30%), 강원(-0.29%), 경남(-0.27%), 세종 (-0.20%), 충북(-0.14%), 부산(-0.14%), 제주(-0.12%)등은 하락했다.
-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29→29개)은 유지, 보합 지역(35→43개)은 증가, 하락 지역(112→104개)은 감소했다.
[수도권 : -0.03%] 서울 0.01% 상승, 인천 0.01% 하락, 경기 0.06% 하락
ㅇ [서울 : 0.00% → +0.01%] 신축단지 입주 등 전세물량 풍부 하거나 노후단지 수요 감소한 지역은 하락세 지속되나, 서울 전반적으로는 3~5월 사이 입주물량 감소, 정비사업 이주수요 등으로 누적된 매물 소화되며 ‘18년 10월4주 이후 36주 만에 상승 전환
- (강북 14개구 : 0.00%) 서대문구(+0.06%)는 일부 하락폭 컸던 단지에서 회복세 보이며, 마포구(+0.05%)는 역세권 단지에서 상승한 반면, 용산구(-0.05%)는 서빙고동 노후단지 위주로, 중구 (-0.04%)는 신당동 대단지에서 하락, 그 외 종로․광진․동대문구 등은 보합
- (강남 11개구 : +0.01%) 동작구(+0.08%)는 작년 4분기 대규모 신규입주 영향으로 하락폭 컸던 단지의 저가 수요로, 송파구 (+0.06%)는 문정․송파동 저가단지 위주로, 서초구(+0.06%)는 정비사업 이주수요 등으로 상승하였으나, 영등포구(-0.06%)는 전세만기 도래를 앞둔 대단지 매물 증가하며 하락하고, 강동 (-0.12%)․관악구(-0.04%)도 신규 입주물량 영향으로 하락세 지속
ㅇ [인천 : -0.02% → -0.01%] 하락폭 축소
- 부평구(+0.11%)는 신축 내지 역세권 단지 위주로 상승하였으나, 미추홀 (-0.06%)․남동(-0.02%)․연수구(-0.01%) 등은 인천 전체적으로 상반기에 약 10,000세대에 달하는 신규 입주물량 영향으로 하락세 지속
ㅇ [경기 : -0.08% → -0.06%] 하락폭 축소
- (성남 분당구 : +0.18%) 매물 부족현상 보이는 가운데, 분당선․ 신분당선 접근성 양호한 단지 위주로 상승폭 확대
- (수원 영통구 : -0.23%) 광교 신도시 신규 입주물량(‘19년 약 2,500세대) 영향으로 하락세 지속
여러분의 공감과 댓글은 제게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경매 뉴스]주간아파트가격동향(20190726) (10) | 2019.07.28 |
---|---|
[경매 뉴스]주간아파트가격동향(20190719) (13) | 2019.07.21 |
[경매 뉴스]주간아파트가격동향(20190705) (39) | 2019.07.06 |
[경매 뉴스]주간아파트가격동향(20190628) (45) | 2019.06.29 |
[경매 뉴스]주간아파트가격동향(20190621) (15) | 2019.06.23 |
[경매 뉴스]주간아파트가격동향(20190610) (37) | 2019.06.15 |
본문과 관련 있는 내용으로 댓글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